통합접지에서 전기안전공사 권고사항인 개별접지로 전환후 피뢰접지 3구간 피뢰인하도선용 구조체웰딩(6개)과 켐로드(1개) 작업

도면상 작업구간 확인
구조체 웰딩 용접
BC(나동연선) C형 슬리브 접속작업
나동연선 접속작업
구조체 웰딩
BC(나동연선)과 F-GV(연선) C형 슬리브 접속작업
연선 피뢰인하도선 접속작업
켐로드 접지저감제 살포후 매립
접지저감제 살포
켐로드 매립및 나동선 접속
피뢰인하도선용 연선 확인
버림콘크리트 타설

ㅇ피뢰및 접지설비
-피뢰설비:피보호 대상물에 접근하는 뇌격을 흡인, 뇌격전류를 안전하게 대질방류하여
건축물을 보호하는 설비로써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높이가 20m 넘는 건물에 시설 의무화
 .강전용 접지:계통접지, 기기접지,피뢰접지
 .약전용 접지:노이즈 억제를 위한 정전차폐접지
-관련규정:건축법 시행령 재87조(건축설비 설치의 원칙)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20조(피뢰설비)
 .KS C IEC 62305 피뢰시스템
 .KS C IEC 62305 저압배전계통의 서지보호장치
 .KS C IEC 62305 건축전기설비
-협의사항
 .레미콘 타설 일정을 건축수급인과 협의
 .건축물 면적이 매우넓어 분리타설하는 경우 기초접지가 누락되지 않도록 조치
 .레미콘 차량 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분리 타설하는 부분도 고려하여 기초접지 밖으로 인출
-인하도선
 .수뢰부로부터 접지부로 뇌전류를 흘리기 위한 외부 피뢰설비의 일부분, 전기적 연속성이 보장
  건축물 금속 구조체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전기저항이 0.2옴 이하가 되어야 함
 .50미터 간격으로 인하도선을 설치하고 기본적으로 4개소 인하도선 설치
 .전기적 연속성 확보위해 반드시 수직철근과 본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