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예

 

지은이 : 오상원
전쟁포로로 한시간후 총살을 당할 나가 나오는 단편 제목이 유예라니 납득이
잘가지 않는다.
그저 시험을 볼 목적으로 단편을 쾌도난마 해서 의식의 흐름 기법을 구사했고
구체적 대립이나 갈등 없이 전쟁의 비인간적인 면을 보여준다는등의 입시학원
강사 나부랑이 들의 해설서는 제쳐 버리자...
오상원이 서울대 불문과를 졸업했으며 한국전쟁 전후의 시대상황을 작품화
하고 있다는 점도 큰 관심은 갖지 말자...
그저 이 단편을 읽으며 우리들이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느낄수 있는것들을
확인해 보는 유예의 시간을 가져봤으면 좋겠다.
전쟁은 무서운 것이다.
실제로 전쟁을 경험해 보지 못한 우리들로서는 영화로 보는 전쟁의 참혹함으로
필름이 아닌 실제 쇳덩어리가 사람 잡으려고 날아 다니는 전장을 간접 체험을
할수 밖에 없다.
자 이제 우리는 적들이 참호를 파고 기다리고 있는 저 능선으로 돌진을 해야
한다고 해보자.
아무리 돌격이라는 소대장의 목소리가 카리스마에 쩔어 있다고 해도 선듯 돌격을
할수 있는이 누가 있을것인가...
국가와 민족을 위해 저 앞 참호속에서 우리를 괴멸시키기 위해 총부리를 겨누고
있는 적군을 향해 불나방처럼 뛰어 든다는건 진리인가 괴변인가...
내가 죽고 난후 국가와 민족이 지켜진들 그게 무슨소용이란 말인가...
생각이 여기까지 도달하면...
유예속의 나라는 인물역시 무모해 보이기 시작한다.
특공대 대장으로 적진깊숙히 침투하여 부하들을 하나둘 잃고 홀로 남하를 하던
나는 왜 어찌하여 구할수 없는 포로를 구한다는 소명으로 총을 쏘아야만 했단
말인가...
나는 또다른 포로가 되어 그 흰눈길을 걸어가며 붉은피로 적셔야만 하는가..
그에게 총구를 겨누었던 자들은 몇분후면 난로불에 추위를 녹일것이다.
"누가 죽었던 지나고 나면 아무것도 아닌 겋이다.
모두 평범한 일인 것이다."
아~ 진정 오상원이라는 작가는 애국심을 추켜세워 전쟁영웅을 만들고 싶은것이
아니라...전쟁기피를 독려하는 것인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