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수묵화 그리고 야생화 정원

요즘들어 서해에 땅을 구매해 다섯가족의 전원생활이 가능할지에 대해
토지를 알아보고 상상의 나래를 펼쳐 보기도 하며서 즐거운 이매저네이션에
빠져 있다.
그러나 현실은 이매저네이션과는 달리 혹독할수도 있겠다.
토지의 가격이 너무 비싸거나
토목 비용이 많이 들거나
아니면 주택을 어떻게 지을것인가도 고민이 되겠다.
이들은 언제든지 우리의 희망을 일시에 무너 뜨릴수 있겠다.
하지만 이들도 핫잇슈의 범주에는 분명히 든다 하겠지만
범인(凡人)의 눈에는 그보다는 토지를 어떻게 나누고 위치별로 누가 어디를 차지할것인가도 중요하다 하겠다.
또하나 주택을 짓는 범주(category)도 다섯가족 별로 다 다를것이다.
누구는 주택용 공간을 제외하고 잔여 터에 많은 종류의 공용공간을 확보하고 구축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싶어 할것이다.
다른 누구는 그보다는 모여살되 독립성을 가지고 최소한의 도로를 위한
토지 공여를 뺀후 나머지는 그들 나름대로의 특색대로 꾸미는것을 선호할수도 있을것이다.
물론 이는 늙어서 서로를 돌보자는 애초의 개념을 무너뜨리지 않는 범위에서
너무 가깝게 살면서 일상에서 발생하는 불화를 최소화 하고자
하는 뜻도 포함되어 있으니 늙어서 많은 손님을 치를 걱정일랑 가져다 버렸으면 싶다.
나의 경우는 후자를 선호하는 편이다.
내가 이상주의자라 그럴수도 있겠지만
나는 오밀조밀한 야생화 정원을 꾸미고 싶다.
이는 내뜻대로 꾸미고 망가뜨리기를 할수 있어야 하니 공용정원과는 의미가 다르다.
그야말로 
저푸른 초원위에 그림같은 집을 짓고
볼륨감 있는 돌로쌓은 구역마다 
향기가 사람을 멈추게 하는 인동초
스트롱 아나벨 인크레더블 수국
리아트리스
톱풀
겹접시꽃
수레국화
황금조팝
휴케라도
겨울의 푸른색 맥문동
그리고 겸손함에 화려함을 한수푼 추가해줄
데이비드 오스틴 장미로 꾸민후
작은 거실에서 정원을 바라보며
수묵화를 그려가며
너무 통속적인 생활에 찌들지 않고
좋은 사람과 차한잔을 할수 있으면 좋치 않을까 한다.
지금껏 찌든 삶을 살았으니 얼마 남지 않은 기간은 신선의 삶을 갈구하면
안되란 법은 없지 않은가
종료


'무언가에 대한 잔상 > 상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의 상처  (0) 2024.03.12
보이지 않는 장벽  (0) 2024.03.04
뱃길, 인생길  (0) 2023.12.05
인섬니어(Insomnia)의 밤  (0) 2023.09.28
22년 8월 어느날의 기록  (0) 2023.08.08

 

 

김칫국좀 마시면 어떼
(Don't count your chickens before they hatch)

연말에 서해에서 모이게 되었다.
지난 김장때 부터 이곳 서해에서 늙으막에 서로 모여 의지하며 살면 어떨까하는 논의가 있어왔고 
현재 그곳에서 살고 있는 오빠가 발품을 팔고 있었다.
흐린 날씨를 뚫고 1500평정도 되는 동네길에서 이어지는 야산으로 모두 기대를 가지고 가보았다.
이곳에 가보기전 우리 모두는 김칫국을 흠뻑 마시고 있었다.
땅을 5개의 필지로 나누고 토목 작업을 한후 각자 알아서 집을
짓는것으로서 부터 시작해 그곳에 공동 농장에 공연장을 짓고 공동 식당까지 운영하고 
손님이 오면 거기에 머물게 하자는 의견까지 나왔다.
그중에서도 최종적인 의견은 일부분에 납골당 비스므리 하게 해서 서로 돌보다 모두 그곳에 묻히자는 이야기 였다.
이렇게 모두 땅에 묻히면서 즐거운 상상은 끝이 났었다.
막상 들어선 야산은 잡목이 너무 많고 경사도가 있어 구매비용이 저렴하다 해도
토목공사 비용이 만만치 않겠다는 내용에 모두 급 실망감을 갖게 되었다.
이에 오빠가 다른곳을 가보자고 하는데 그곳의 넓이는 1100정도였다.
산으로 둘러 쌓여 있고 바로 너머에 바다가 있었다.
이곳은 토목공사 비용을 절감 할수 있으니 구매비용이 처음것 보다 오른다해도 괜찮을듯 싶다.
단점이라면 평수가 줄어들고 북향이라는데 있었다.
오빠가 나서서 거래를 해보겠다고 하니 모두가 상상의 나래를 펼칠 희망을 품게 되었다.
그래도 아직까진 5가족 모두 다른 사정으로 일시에 내려가 집을 짓고 사는데는 많은 시일이 필요해 보인다.
어느 가족은 이년에서 삼년사이에 집을 짓고 싶다고 하고 다른 가족은 일단 텐트를 치고 지내겠다고 했다.
그나저나 이곳의 최대 단점은 현재의 생활권에서 2시간여가 걸리는 장거리에 있다.
땅을 구매하고 주말마다 온다고 하면 그 비용도 만만치 않을듯 싶으니 말이다.
종료


'무언가에 대한 잔상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좀팽이 속쓰리다  (0) 2024.02.21
전원생활, 다시 생각해 볼 사항  (0) 2024.02.13
호의가 계속되면 권리인줄 알까?  (1) 2024.02.06
데미안  (0) 2024.02.01
칼세이건의 코스모스  (0) 2024.01.23

 

 

호의가 계속되면 권리인줄 알까?

현수퍼: 현임특급감리원
하이이사: 고급이사
하이과장: 고급과장
인터: 중급감리
커뮤너케이션 필드: 통신감리
오피스 필드: 공무
헤드리더: 단장
일렉트리컬 필드의 현수퍼와 하이과장간의 불화기간동안 내실을 다진다는
생각하에 현수퍼는 금요일이 되면 집이 멀리 있는 인터에 대하여 오후시간대
일찍 들어가도록 편리를 봐주고 있었다.
그러다 보니 현수퍼 눈에 하이이사가 일방적인 처사에 불만이 있을거라고
생각해서 인지 현수퍼도 오후 4시경이면 좀 일찍 퇴근 하시라고 카톡을 보내기 시작했다.
그래도 돼나 싶었던 하이이사도 그런일이 반복되다 보니 싫지 않았고 현재 책임감리원도
아닌 입장에서 굳이 시간을 채우고 가겠다고 해봐야 아무 소용없는 짓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했다.
그러던중 현수퍼와 하이과장간의 강제화해가 헤드리더에 의해 강제로 이뤄졌지만
아직까지 하이과장은 커뮤너케이션 필드 품에 머물고 있는 상태 였다.
그리고 계속해서 하이과장이 일을 정상적으로 하는지 감시의 눈초리를 
내리지 않았던 현수퍼는 자신의 통제하에 머물고 있는 하이이사에 대하여만
금요일 오후에 일찍들어 가시라고 편리를 봐주고 있었다.
하이이사의 입장에서는 점심식사 이전에 현수퍼가 일찍 들어가라는 말을 했어도
오후에 전동차의 시간을 봐서 1시간정도 어쩌다 길어봐야 2시간의 편리를 보는 편이었다.
그런 하이이사의 눈에 신경 쓰이는 사람은 커뮤너케이션 필드 였다.
그는 하이이사나 현수퍼가 자리에 없으면 어디갔냐고 찾는 편이기 때문이었다.
그러다 23년도 송년회가 시공사 주최로 발주처, 감리단이 참석하는 형태로 이루어 졌다.
그자리에서 오피스 필드가 현수퍼에게 말했다.
현수퍼가 하이이사에 대해서만 자의적으로 조기퇴근을 하게 하는건
헤드리더에 대한 도전이라는 강력한 말을 말이다.
이에 털뽑힌 육계 처지인 현수퍼는 불안감을 느끼고 그다음날 출근하여
하이이사에게 앞으로 조기퇴근은 불가능 하다고 말을 하였다.
그러면서 누군가 현수퍼를 음해하기 위해서 오피스 필드에게 조기퇴근 이야기를
했을거니 이에대한 모든 책임은 자신에게 있고 하이이사는 신경쓰시지 말라고 했다.
하이이사는 이런말을 하는 현수퍼가 이해가 가지 않았다.
조기퇴근이라는걸 본인이 먼저 요청한적은 거의 없고 가라고 하는 말에 따라
1시간 정도 일찍 들어간게 다였기 때문이다.
이는 다른 분야 커뮤니케이션 필드, 파여파이팅 필드, 아커텍쳐 필드 중에서도
금요일의 경우 4시경에 퇴근하는 경우가 흔했기 때문이었다.
일렉트리컬 필드는 잘못하면 별 차이도 없이 퇴근을 했는데 이제는 다른 분야 보다 더 늦게 가야
하는 불이익을 받을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일렉트리컬 필드가 조기퇴근한다는걸 오피스 필드에 말할 사람은
현재로선 커뮤니케이션 필드 밖에 없을것으로 사료되고 있다.
요즘들어 급작스럽게 오피스 필드가 그쪽과 심하게 대화의 광장을 자주
열고 있음이 심증이라면 심증일 것이다.
하이이사는 울화통이 터지면서도 자신이 호의가 계속되면 권리인줄 아는가라는
데 해당 되는지도 살펴보고 있었다.
종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