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의 근무처 계약종료일이 다가오면서
원래도 특이사항이 없던것이 더욱더 무료한 면이 도드라지고 있다.
하루를 지내기가 힘겨워 질즈음 문뜩 떠오른것이
도서관이었다.
추운 날씨에 따뜻하게 앉아서 책속에 빠져 보는것도 
그리 나쁘지는 않을것 같아 근무지 주변의 도서관을 검색해 보았다.
그런데 수원에 비해서 이상한점이 있다.
큰도서관은 몇개 없고 작은도서관이라고 명명된 것들이
많이 검색 된다.
특히나 근무지에서 걸어갈수 있는 가까운곳에는 일반 도서관이
보이지 않고 CACS 작은 도서관과 일봉동작은도서관이 
있을 뿐이다.
가장가까운 CACS작은 도서관을 검색해보니 걸어서 8분정도
걸린다.

CACS작은 도서관까지 걸어가는 루트

봉명역 화장실도 들를겸해서 한번 걸어 가보기로 했다.
매서운 바람이 불어 오는 다사랑 칼국수 앞을 지나쳐
걸음을 재촉해 본다.

이곳은 공사로 인하여 일방통행 표시가 지워진 탓인지
역주행하는 차량들로 시비가 잦아 지고 있는 곳이다.
좀더걸어가니 봉명역이 보이고 그옆으로 CU편의점이 보인다.

이곳에서 특이한건 추리닝 차림의 남자가 앵무새 2마리를
어깨에 앉히고 걸어가고 있는 모습이었다.

올겨울 들어 꽤나 추운날이었는데 강아지 산책 시키듯
새들도 산책을 시키는 건가 하는데 그남자는 CU편의점으로
들어가 버린다.
좀더 앞으로 걷다 새사람교회에서 우회전을 했다.

다시 맥주나라에서 좌회전을 했다.

몇발짝 걸음을 옮기니 CACS라고 표시된 건물이 나타난다.

그런데 이건물이 도서관이 과연 맞을까 싶다
요양보호사, 학점은행제등 도서관이름은 없고 동떨어진
명칭들만 표기되어 있다.
그사이에 용도가 바뀐것인가?
유리창 안으로 들여다 보니 커피 1500원 옆으로 낡은 책이 
일부 진열 되어 있다.
아 도서관이라고 하기엔 많이 부족해 보인다.
실망스럽다. 다른곳을 찾아 봐야 겠다.

지난주 주중에 원장님이 족발 먹어 본지 오래됐으니
먹어 볼까라고 했다. 
나또한 회사에서 소고기 회식을 했음에도 속이 허한것이
고기가 먹고 싶던 참이었다.
금요일 부터 계속해서 매번 사먹던 정자동 황금족발을
가서 사가지고 올까를 반복 했지만 땡글이 입맛에 
맞춰서 결정을 하자고 했다.
토요일은 땡글이가 서울로 교육받으러 가서 대충
남은 반찬으로 챙겨 먹고 
드디어 일요일이다.
내가 숯불닭갈비 먹으러 갈까 했더니 이번에도 땡글이
한테 물어 보자고 했다.
그렇게 해서 결정난게 돌고 돌아 다시 족발 인데
이번에는 정자동 황금족발이 아닌 이사온곳에서
좀더 가까운 배가 족발을 시켜 먹어 보자가 내가
제안을 했다.

원장님이 망설이다 그래 한번 먹어보자고 해서
주문을 했는대 나는 속으로 이러다 맛없으면 내가
몇일 동안은 덤터기를 쓸수 밖에 없겠다고 생각 했다.
40여분을 기다려 배가 족발이 배달되어 왔다.,
막국수 맛을 본 원장님이 하는 말 더럽게 맛없다며
초고추장등을 가져와 심폐소생술을 시도 했다.
이가게 설명을 보니 그 어떤 인공조미료도 사용하지
않고 정직하게 했다고 하는데.
그래서 일까 황금족발보다 쫀득함도 부족하고 뭔가 
족발의 맛도 이맛도 저맛도 아니다.
그래서 추천하는 사람들이 불족발이 최고라고 했는지는
모르겠는데 아무튼 실망스러운 족발 맛이었다.

12월 6일 금요일 아침에 핸드폰을 언뜻보니 지하철 파업이 
극적으로 타결 돼서 아침 출근 혼잡은 없다고 했다.
잘됐다고 졸린눈을 비비며 화서역으로 향했다.
역사에 들어서며 전광판을 본 나는 눈을 의심하며 아니
왜 서동탄 가는 전동차만 있고 천안 신창은 없지를
반복해서 자문 했다.

화서역사 모습

분명 6시 25분에 신창행 전동차가 와야 하는데
다시한번 전광판을 봤는데 서동탄행만 3대가 있다고
표시돼고 있다.

천안 신장행은 없고 서동탄 행 만 표시되고 있다

일단 전광판 사진을 찍어 출근시간이 늦을수 있다고
동료에게 톡을 보내 놓았다.
마냥 기다릴수는 없고 카드를 찍고 플랫폼으로 들어서
차가운 의자에 앉아 기다리는데 계속해서 
서동탄행 전동차만 들어온다.

정차하는 서동탄행 전동차

그렇게 한참을 기다리다 보니 전광판에 천안행이 표시에
나타났다.

40여분을 기다린후 천안행 전동차가 표시되었다

천안행은 봉명역 까지 안가서 천안에서 내려 다시 신창행으로
갈아타야 하지만 하는수 없다.
일단 따뜻한 전동차 실내는 굳은 몸을 녹여주여 괜찮았다.
의외로 자리도 수원역에서 앉을수 있었다.
그렇게 졸면서 서정리에 왔을때 맞은편에 신창행 급행
전동열차가 들어온다고 했다.

서정리역에 신창행 전동열차가 들어오고 있다

급하게 일어서 전동차를 갈아타고 천신만고 끝에
지각했지만 직장에 들어 설수 있었다.
신창행 급행 전동열차를 타면서 느낀건 왜 이 이른 출근시간에
노인들이 이리 많고 그들은 교통약자석에 앉지 않고 일반좌석에
앉아 가는건지라는 의문이 들었다.
학생과 직장인들고 이름 아침에 일어나 피곤한텐데 그들의
행동 때문에 세대가 갈등이 심해지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과 우려가 몰려왔다.😒

옛집은 처음보는 인도네시아 공포 드라마다.
나이트메어 앤 데이드림은 총 7편으로 구성된 작품으로 넷플릭스 
에서 볼수 있는 작품이다.
감독은 기존 리뷰들이 천재라고 떠들어대는 조코 안와르라고
한다.
낯선 나라의 작품이니 배우들이 처음 보는 사람들이고 
전혀 배우답지 못하다는 즉 미남 미녀들이 나오지 않는다는 점이
무척 신선 했다.
내용 또한 요양원 부모들의 역습이라고 할만한 하니
참신하다고 할수 있다.
하지만 실망감이 큰 포인트들도 존재한다.
첫째는 이상한 집단들의 복장이 어디선가 본 낯설지 않은
모습이라고 생각됐는데 다른분들 의견을 보면
우리나라 오징어게임 같다고 하더라
둘째는 괴물의 모습들이 정말 허접하다는 점이다.

컴퓨터 그래픽에 돈을 들이지 않은 모습이 역력하다.
이렇듯 옛집은 신선한 부분과 실망감이 큰 부분이
상존하고 있는데 그냥 심심할때 땅콩식으로
본다면 so so하다 할것이다.

+ Recent posts